“굳 바이” 하며 그분과 헤어지는데 뒤를 돌아보니 그의 몸 전체가 흔들린다.
필시 울고있는 것이 분명하다. 이럴때는 모른 척 하는것이 그를 위하는 길이다.
금년 77세. 미국 대학에서 교수로 제직하고 있는 그 교수는 한국서부터
우리 가족과 아주 친하던 분이다. 우리보다 일 년 쯤 늦게 미국으로 이민
가서 힘든 공부를 마치고 대학교 교수로 당당히 직장을 잡아 지금까지
일 하고 있는 성실한 분이다. 아들 셋 중 둘을 M.D 와 Dentist로 만들었다.
어찌 세상 눈으로보면 성공한 케이스라고 하겠지만
그의 가슴은 그리 따스하지만은 않다. 남은 한 아들은 아버지의 공부 닥달에
못 이겨 “다시는 당신을 보고싶지 않다.”는 남기고 영원히 집을 나가 버렸다.
처음 이민와서 당신 공부를 뒷 바라지 하던 간호원 아내는 오버타임의 매력에
쉬는 날 없이 일 하다가 마흔도 안된 나이에 암에걸려 일찍 세상을 떠났다.
아내와 사별한 그는 얼마 후 신문 광고까지 내어 여러명의 후보중 골라 새 장가를
갔었다. 남자들은 처녀장가 가는 것을 크게 반기는 것 같지만 실속은 그렇지 않았단다.
기대했던 ‘베게 송사’도 꽝이었고 사회경험, 결혼경험 없는 사람한테 큰 것을
기대할 수는 없었다는 것.
자기의 출세를위해 밤 낮없이 일하던 조강지처를 생각하면 가슴이 매인다.
처음 아내와 사별 후 생활은 그져 눈 뜨고 살아갈 뿐. 아무런 기쁨이나
행복한 시간을 갖지 못하고 이 나이까지 왔노라며 인생이 슬프다고 하소연 한다.
자기 몸 돌보지 않고 무리하게 일하다 일찍 세상떠난 그의 옛 아내는
무엇이 가장 잘 사는 것인지 모르고 살다 갔고.
의사 / 교수가 되는 것에 최대의 목표를 두고 살아온 그 교수도
인생 잘 살아왔다고 말 할 수 없다.
조촐한 집에 적당한 직장 오손도손 아이들과 마주앉아 도란거리는
얘기들, 막 노동으로 험하게 된 두툼한 아버지의 손등을 바라보는 자식들의 애잔함.
아내와 아이들에게 마음으로부터 존경받는 아버지. 세련되지 못하지만 정성 다해
밥을 짓는 엄마 / 아내를 위해주는 가족들. 이 모든 조화가 한 폭의 그림처럼 그려진다.
노교수의 눈물을 보고 온 날 내 가슴에도 먹먹한 구름 한 줄 회오리처럼 지나간다.
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
벽화 작업 중간 입니다.